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마이클 샌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마이클 샌델은 1953년 미국에서 태어난 정치철학자로, 하버드 대학교에서 40년 이상 정치철학을 강의했다. 그는 롤스의 《정의론》을 비판하며 공동체주의를 옹호하며, 《정의란 무엇인가》,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공정하다는 착각》 등 저서를 통해 사회 정의와 시장의 도덕적 한계, 능력주의의 문제점을 탐구했다. 샌델은 하버드 대학교의 인기 강좌 "정의"를 통해 대중에게 철학을 알렸으며, BBC, 에드엑스 등을 통해 강연 및 강의를 제공하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그는 중도좌파적 성향을 보이며, 정치 및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며, 특히 한국에서 《정의란 무엇인가》가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큰 주목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랜다이스 대학교 동문 - 세일라 벤하비브
    세일라 벤하비브는 튀르키예 출신의 정치철학자이며, 문화의 순수성을 부정하고 다원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양립을 주장하며, 저서로 『타자의 권리』 등이 있고 북미철학회상 등을 수상했다.
  • 브랜다이스 대학교 동문 - 토머스 프리드먼
    퓰리처상 3회 수상에 빛나는 미국의 칼럼니스트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토머스 프리드먼은 뉴욕 타임스 외교 전문 칼럼니스트로서 세계화, 테러리즘, 중동 정치 등 국제 정치 및 경제 이슈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며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인물이다.
  • 미국의 정치철학자 - 노엄 촘스키
    노엄 촘스키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으로 언어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인지 과학 등 여러 학문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 외교 정책과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저명한 지식인이자 사회운동가이다.
  • 미국의 정치철학자 - 토머스 페인
    토머스 페인은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국계 미국인 혁명가, 작가, 정치 사상가로서, 그의 팸플릿 『상식』은 미국 독립 여론 형성에 기여했고, 『미국의 위기』 시리즈는 미국인들의 사기를 진작시켰으며,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인간의 권리』를 통해 프랑스 혁명을 옹호하고 『이성의 시대』를 통해 종교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시했으나, 그의 급진적 사상으로 인해 말년은 고독하게 보냈다.
  • 로즈 장학생 - 딘 러스크
    딘 러스크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케네디 및 존슨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역임하며 쿠바 미사일 위기 외교적 해결 지지, 베트남 전쟁 미국 군사 개입 확대 옹호 등의 활동을 했다.
  • 로즈 장학생 - 토니 애벗
    토니 애벗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총리를 지낸 정치인으로, 언론인과 변호사 경력을 거쳐 1994년 연방 의회에 입성한 후 자유당 당수를 역임했으나, 정치적 논란과 지지율 하락으로 총리직에서 물러난 후 2019년 총선에서 낙선했다.
마이클 샌델
기본 정보
2012년의 마이클 샌델
2012년의 샌델
이름마이클 조셉 샌델
출생일1953년 3월 5일
출생지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로마자 표기Michael Joseph Sandel
소속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2002년)
학력
학사브랜다이스 대학교
박사옥스퍼드 대학교 베일리얼 칼리지
주요 관심사
관심 분야정치철학
법학
윤리학
학문적 배경
학교/전통분석적
공동체주의
공화주의
주요 아이디어자유주의에 대한 공동체주의적 비판
박사 논문 제목자유주의와 도덕적 주체의 문제
박사 논문 년도1980년
박사 지도교수찰스 테일러
영향을 준 인물아리스토텔레스
이마누엘 칸트
존 로크
존 스튜어트 밀
존 롤스
찰스 테일러
마이클 월저
영향을 받은 인물에드 밀리밴드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
제임스 E. 플레밍
커탄지 브라운 잭슨
주요 저서자유주의와 정의의 한계 (1982)
정의란 무엇인가 (2009)
박사 제자야샤 뭉크
철학적 영향
주요 아이디어공동선
소속 기관
소속하버드 로스쿨 하버드 대학교

2. 생애 및 학력

1953년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유태인 가정에서 태어났다.[7][50] 13세 때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팔리세이즈 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했다.[8]

1975년 브랜다이스 대학교(Brandeis University)에서 정치학 학사 학위를 받고 파이·베타·카파(Phi Beta Kappa) 회원이 되었다.[9] 로즈 장학금으로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밸리올 칼리지에서 찰스 테일러 교수의 지도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50][9]

학력
팔리세이즈 고등학교 (수석 졸업)
브랜다이스 대학교(Brandeis University) 정치학 학사
옥스퍼드 대학교 밸리올 칼리지(Balliol College, Oxford) 철학 박사


3. 학문적 경력 및 활동

샌델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20여 년간 "정의(Justice)"라는 과목을 강의했는데, 1만 5천 명이 넘는 학생들이 수강하여 하버드 역사상 가장 많은 학생들이 들은 강좌 중 하나로 꼽힌다.[51][13] 2007년 가을 학기에는 1,115명이 수강하기도 했다.[51] 이 강의는 온라인으로도 제공되었다. 현재 하버드 로스쿨에서 "윤리, 경제학 및 법(Ethics, Economics and the Law)"이라는 세미나 과목도 지도하고 있다.

샌델의 "정의" 강의는 12부작 TV 시리즈 "정의: 무엇이 옳은 일인가?(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로도 방영되었다.[16] 강의 영상은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으며, 관련 서적으로는 《정의란 무엇인가》와 독본 "정의: 독본(Justice: A Reader)"이 있다.

강의가 큰 인기를 얻은 이유는 암기식이 아닌 토론 중심의 형식(소크라테스식 방법(Socratic method))과 맥락을 강조하는 샌델의 강의 스타일 덕분이다.[17] 예를 들어, 그는 티켓 암표상(ticket scalping)의 윤리에 대한 논의로 강의를 시작하기도 한다.[17]

BBC는 2011년부터 BBC Four에서 이 시리즈의 30분짜리 8개 에피소드를 방영했다.[18] 2012년에는 BBC Radio 4에서 샌델이 진행하는 3부작 시리즈 "공공 철학자(The Public Philosopher)"를 방송하고 팟캐스트로도 제공했다.[15][19][20]

샌델은 에드엑스(edX)에서 온라인 "정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21] 2013년, 샌호세 주립대학교 철학과 교수진은 샌델에게 공개 서한을 보내 MOOC(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좌) 사용에 항의했다.[22] 샌델은 온라인 강좌의 광범위한 사용이 예산 압박에 직면한 공립대학의 학과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우려에 공감하며, 자신의 온라인 강의가 다른 기관의 교수들을 훼손하는 데 사용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답했다.[23]

샌델은 더글러스 멜턴(Douglas Melton)과 함께 "윤리와 생명공학" 세미나를 공동 강의하며, 다양한 생명공학적 절차와 가능성의 윤리적 함의를 다룬다.

일본에서도 샌델의 강의가 소개되었는데, NHK 교육텔레비전에서 2010년 "하버드 명강의(Justice with Michael Sandel)"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일본TV 계열 방송에서는 2011년 "다케시의 IQ200~세계의 천재가 일본을 구하다~"에 출연했으며, BS-TBS에서는 2013년 세이난가쿠인대학에서 진행된 특별 강의를 방송했다.

2005년 한국철학회 주최 다산기념 철학 강좌에서 '시장의 도덕적 한계', '자유주의와 무연고적 자아' 등을 주제로 강연했다.[52] 2010년 아산정책연구원 초청으로 경희대학교 평화의전당에서 공개 강연을 개최했다.[52] 같은 해 대한민국에서 그의 저서 《정의란 무엇인가》가 번역 출간되어 인문학 서적으로는 이례적으로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르며 큰 화제를 모았다.[52] 이 책은 2011년 4월 대한민국 판매량 100만 부를 돌파했다.[53] KBS의 책읽는밤에서는 이 책을 다루면서 2010년 대한민국에서 정의 논의가 다시 촉발된 배경과 책의 의미를 분석했다.[52]

3. 1. 철학적 관점

존 롤스의 《정의론》을 비판하며 명성을 얻은 샌델은, 자유주의자들이 상정하는 추상적인 개인 개념은 인간 본성과 거리가 멀다고 주장한다. 그는 사회적 연대와 시민적 덕목을 강조하는 공동체주의를 지지한다.[10]

샌델은 롤스가 무지의 베일이라는 가정을 통해 사람들을 "구속받지 않은 자아"로 본다고 비판한다. 샌델은 인간이란 본질적으로 가족과의 유대 등 태어날 때부터 맺어진 관계에 묶여 있으며, 이러한 유대에서 자신을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본다. 따라서 샌델은 무지의 베일의 덜 제한적인 버전을 상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비판은 롤스로 하여금 자신의 정의론이 "형이상학적" 이론이 아니라 "정치적" 이론이라고 주장하게 만들었다.[11]

독일에서는 프랑크푸르트 학파 2세대, 특히 유르겐 하버마스가 샌델의 사상에 공감했다. 그러나 독일의 지역 공동체에서는 자국의 역사·문화·전통이 상실되었다는 비판도 있다. 독일의 정치학자 레제-셰퍼는 샌델의 공동체주의가 다양한 문화권의 유입으로 인해 사회 내부에 무수한 게토를 형성하고, 민주주의적 공공성을 붕괴시킬 수 있다고 경고한다.[47]

3. 2. 강의 및 교육 활동

하버드 대학교에서 20여 년간 "정의(Justice)"라는 과목을 맡아 강의하고 있으며, 1만 5천 명이 넘는 학생들이 수강하여 하버드 역사상 가장 많은 학생들이 들은 강좌 중 하나로 손꼽힌다.[51][13] 2007년 가을 학기에는 1,115명의 학생이 수강하기도 했다.[51] 이 강의는 하버드 대학교 연수대학(Harvard Extension School)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제공되었다. 현재 하버드 로스쿨에서 "윤리, 경제학 및 법(Ethics, Economics and the Law)"이라는 세미나 과목도 지도하고 있다.

샌델의 "정의" 강의는 WGBH(WGBH-TV)와 하버드 대학교가 공동 제작한 12부작 TV 시리즈 "정의: 무엇이 옳은 일인가?(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로도 방영되었다.[16] 강의 영상은 마이클 샌델의 정의(Justice with Michael Sandel)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으며, 관련 서적으로는 "정의: 무엇이 옳은 일인가?(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와 독본 "정의: 독본(Justice: A Reader)"이 있다.

강의가 큰 인기를 얻은 이유는 암기식 강의가 아닌 토론 중심의 형식(소크라테스식 방법(Socratic method))과 맥락을 강조하는 샌델의 강의 스타일 덕분이다.[17] 예를 들어, 그는 티켓 암표상(ticket scalping)의 윤리에 대한 논의로 강의를 시작하기도 한다.[17]

BBC는 2011년 1월 25일부터 BBC Four에서 이 시리즈의 30분짜리 8개 에피소드를 방영했다.[18] 2012년 4월에는 BBC Radio 4에서 샌델이 진행하는 3부작 시리즈 "공공 철학자(The Public Philosopher)"를 방송하고 팟캐스트로도 제공했다.[15][19][20] 이 프로그램은 런던 정경대학(London School of Economics) 청중 앞에서 녹화되었으며, 샌델은 청중들과 대학이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우선권을 주어야 하는지, 간호사가 은행원보다 더 많은 급여를 받아야 하는지, 건강을 위해 사람들에게 뇌물을 주는 것이 옳은지에 대해 토론을 벌였다.

샌델은 에드엑스(edX)에서 온라인 "정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21] 2013년 4월 29일, 샌호세 주립대학교 철학과 교수진은 샌들에게 공개 서한을 보내 샌델의 "정의" 강좌와 같은 MOOC(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좌) 사용에 항의했다.[22] 샌델은 온라인 강좌의 광범위한 사용이 예산 압박에 직면한 공립대학의 학과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공감하며, 자신의 온라인 강의가 다른 기관의 교수들을 훼손하는 데 사용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답했다.[23]

샌델은 더글러스 멜턴(Douglas Melton)과 함께 "윤리와 생명공학" 세미나를 공동 강의하며, 다양한 생명공학적 절차와 가능성의 윤리적 함의를 다룬다.

일본에서도 샌델의 강의가 소개되었는데, NHK 교육텔레비전에서 2010년 "하버드 명강의(Justice with Michael Sandel)"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일본TV 계열 방송에서는 2011년 2월 21일 "다케시의 IQ200~세계의 천재가 일본을 구하다~"에 출연했으며, BS-TBS에서는 2013년 1월 26일 세이난가쿠인대학에서 진행된 특별 강의를 방송했다.

3. 3. 한국과의 관계

2005년 한국철학회 주최 다산기념 철학 강좌에서 '시장의 도덕적 한계', '자유주의와 무연고적 자아' 등을 주제로 강연했다.[52] 그는 강연에서 "돈으로 살 수 없는 것과 살 수 있는 것"이 철학적으로 구분되며, 시장 논리가 확장되는 오늘날에도 돈으로 살 수 없는 가치가 존재하며, 이러한 가치에 시장 논리가 침범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2010년 아산정책연구원 초청으로 경희대학교 평화의전당에서 공개 강연을 개최했다.[52] 같은 해 대한민국에서 그의 저서 《정의란 무엇인가》가 번역 출간되어 인문학 서적으로는 이례적으로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르며 큰 화제를 모았다.[52] 주요 독자층은 40대였으며, 국내 도서 관련 업체는 "쉽게 쏠림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전통적인 40대 인문 독자의 관심을 끌 만큼 사회적인 반향을 일으켰다"고 평가했다.

정의란 무엇인가》는 2011년 4월 대한민국 판매량 100만 부를 돌파했다.[53] 이는 1990년대 이후 인문학 서적 판매량이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 이례적인 일로 평가받는다. KBS의 책읽는밤에서는 마이클 샌델의 이 책을 다루면서 2010년 대한민국에서 정의 논의가 다시 촉발된 배경과 책의 의미를 분석했다.[52]

4. 정치 및 사회 활동

마이클 샌델은 정치 및 사회 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해 왔다.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대통령 생명윤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24]

공동체주의를 지지하며, 존 롤스의 『정의론』을 비판한다. 롤스는 무지의 베일을 가정하여 정의를 설명하지만, 샌델은 인간은 여러 관계에 얽매여 있어 그러한 베일을 가질 수 없다고 주장한다.[10] 가족과의 유대는 태어날 때부터 맺어진 것이기 때문에 분리할 수 없다는 것이다.

독일에서는 프랑크푸르트 학파 2세대, 특히 유르겐 하버마스가 샌델의 사상에 공감하여 그의 저서를 소개하기도 했다.[46]

4. 1. 정치적 입장

샌델은 중도좌파적 성향으로 평가받는다. 2020년 영국의 좌파 신문인 가디언은 샌델을 "명백히 좌파"라고 평가했다.[24] 그는 에드 밀리밴드가 이끌던 영국 노동당 쇄신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2012년 노동당 대회에서 시장의 도덕적 한계에 대해 연설하여 밀리밴드의 '약탈적 자본주의' 비판에 영감을 주었다.[24]

4. 2. 공공 서비스

샌델은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대통령 생명윤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4. 3. 능력주의 비판

샌델은 공동체주의를 지지하며, 존 롤스의 『정의론』을 비판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롤스는 무지의 베일이라는 가정을 통해 정의를 설명하지만, 샌델은 인간이 그러한 베일을 가질 수 없을 정도로 이미 여러 관계에 얽매여 있다고 주장한다.[10] 예를 들어, 가족과의 유대는 의식적인 선택이 아닌, 태어날 때부터 맺어진 것이기 때문에 분리할 수 없다. 샌델은 롤스의 정의론이 "형이상학적" 이론이 아니라, 다양한 견해를 가진 개인과 집단 간의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정치적" 이론이라고 비판한다.[11]

독일에서는 프랑크푸르트 학파 2세대, 특히 유르겐 하버마스가 샌델의 사상에 공감하여 그의 저서를 소개하기도 했다.[46] 그러나 독일에서는 샌델 등이 주도하는 공동체주의가 페르디난트 테니스가 제창한 전통적인 「민족 공동체」적 발상을 파괴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지역 공동체의 역사·문화·전통을 상실시켰다는 비판도 있다.

독일의 정치학자 레제-셰퍼는 이민 증가 추세 속에서 하버마스가 미국으로부터 수입한 공동체주의가 다원주의적 발상과 결합하여, 다양한 문화권의 종교와 도덕관념이 유입되면 사회 내부에 무수한 게토가 형성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는 이러한 공동체주의적 발상이 집단적 배척주의를 낳고, 배타적인 '시민 감정'으로 맺어진 게토 형성을 촉진하여 민주주의적 공공성 붕괴를 가져올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47]

샌델은 능력주의 사회에서는 자신의 성공이 온전히 자신의 노력 덕분만이 아니라, 재능을 인정해주는 사회에 태어난 행운 덕분임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한다.[48]

5. 주요 저서

제목출판 연도비고
자유주의와 정의의 한계 (Liberalism and the Limits of Justice)1982년존 롤스의 『정의론』 비판[10]
민주주의의 불만 ('Democracys Discontent'')1996년
공공 철학 (Public Philosophy)2005년미국 정치 생활에서 도덕과 정의의 역할 조사
완벽함에 대한 반론 (The Case Against Perfection)2007년
정의란 무엇인가 ('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2009년대한민국에서 2010년 번역 출간되어 인문학 서적으로는 베스트셀러 1위[52], 2011년 4월 대한민국 판매량 100만 부 돌파[53]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What Money Cant Buy: The Moral Limits of Markets'')2012년시장 중심적 접근 방식이 도덕적 가치의 이완 또는 부패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28][29]
공정하다는 착각 (The Tyranny of Merit)2020년능력주의 비판, 서구 신자유주의 개혁 주장[30]


6. 수상 및 영예


  • 1985년: 하버드-래드클리프 피 베타 카파 교수상[38]
  • 2012년: 파이낸셜 타임스골드만삭스 경제 도서상 후보,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시장의 도덕적 한계" (''What Money Can't Buy: The Moral Limits of Markets'')[39]
  • 2012년: 포린 폴리시지 선정 세계 석학[40]
  • 2014년: 유트레히트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41]
  • 2018년: 프린세사 데 아스투리아스상 사회과학 부문[42]
  • 2023년: 라드바우트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43]

7. 개인사

샌델은 1953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13살 때 로스앤젤레스로 이사했다.[8] 팔리세이즈 고등학교를 수석 졸업하고, 1975년 브랜다이스 대학교(Brandeis University)에서 정치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Phi Beta Kappa 회원이었다. 1985년 로드 장학생(Rhodes Scholar)으로 옥스퍼드 대학교 밸리올 칼리지(Balliol College, Oxford)에서 철학자 찰스 테일러의 지도하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9]

하버드 대학교 동료 교수인 키쿠 아다토(Kiku Adatto)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고 있다. 보스턴 레드삭스 팬으로 알려져 있다.[49]

참조

[1] 웹사이트 Michael Sandel and AC Grayling in conversation https://www.prospect[...]
[2] 뉴스 'Intellectual Powerhouse': Yascha Mounk Examines the Future of Democracy https://www.thecrims[...] 2022-08-10
[3] 웹사이트 Korea's New Security Paradigm http://www.asanfound[...] Asan Foundation 2020-09-21
[4] 웹사이트 Michael J. Sandel https://scholar.harv[...] 2023-11-25
[5] 웹사이트 Michael Sandel and Chinese Philosophy https://harvardpress[...]
[6]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B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6-03
[7]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merican Cultural and Intellectual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Michael Sandel: This much I know https://www.theguard[...] 2017-01-09
[9] 웹사이트 Michael Sandel: master of life's big questions {{!}} Observer profile http://www.theguardi[...] 2022-04-05
[10] 웹아카이브 Justice as Fairness: Political not Metaphysical http://philosophyfac[...] 2018-07-12
[11] 웹아카이브 Justice as Fairness: Political not Metaphysical http://philosophyfac[...] 2018-07-12
[12] 뉴스 Michael Sandel wins Asturias Award in Social Sciences https://news.harvard[...] 2018-07-10
[13] 뉴스 Opinion https://www.nytimes.[...] 2018-07-10
[14] 뉴스 Sandel Wins Enrollment Battle http://www.thecrimso[...] 2007-09-26
[15] 웹사이트 Michael Sandel: master of life's big questions https://www.theguard[...] 2018-07-10
[16] 웹사이트 Justice—On Air, in Books, Online http://harvardmagazi[...] 2009-09-22
[17] 뉴스 Thinking aloud https://www.japantim[...] 2010-09-19
[18] 웹사이트 BBC Four - Justice https://www.bbc.co.u[...]
[19] 웹사이트 Series 1, The Public Philosopher - BBC Radio 4 https://www.bbc.co.u[...]
[20] 웹사이트 The Public Philosopher - Downloads - BBC Radio 4 https://www.bbc.co.u[...]
[21] 웹사이트 Justice https://www.edx.org/[...] 2018-05-23
[22] 웹사이트 'An Open Letter to Professor Michael Sandel From the Philosophy Department at San Jose State U.' https://www.chronicl[...] 2013-05-02
[23] 웹사이트 Michael Sandel Responds https://www.chronicl[...] 2013-05-02
[24] 뉴스 Michael Sandel: 'The populist backlash has been a revolt against the tyranny of merit' https://www.theguard[...] 2023-12-23
[25] 서적 Democracy's Discontent: A New Edition for Our Perilous Times Harvard University Press 2022
[26] 웹사이트 BBC Radio 4 Programme details for Start the Week, 25 May 2009 http://www.bbc.co.uk[...]
[27] 뉴스 Michael Sandel to deliver Radio 4's Reith Lectures https://www.theguard[...] 2009-02-05
[28] 간행물 What Money Cant Buy: The Moral Limits of Markets by Michael Sandel http://philosophynow[...] 2013-09-01
[29] 논문 Sacred Values? The Effect of Information on Attitudes toward Payments for Human Organs https://ideas.repec.[...] 2015-05-01
[30] 웹사이트 The Meritocracy Trap by Daniel Markovits https://theobjective[...] 2021-07-24
[31] 웹사이트 Michael Sandel: Why the elites don't deserve their status https://unherd.com/t[...] 2022-05-24
[32] 서적 The Tyranny of Merit: What's Become of the Common Good? Farrar, Straus and Giroux
[33] 뉴스 Michael Sandel: 'The populist backlash has been a revolt against the tyranny of merit' https://www.theguard[...] 2020-09-06
[34] 웹사이트 Michael Sandel's The Tyranny of Merit: More diagnosis than cure https://www.standard[...] 2023-12-23
[35] 웹사이트 The Tyranny of Merit: What's become of the common good? by Michael J. Sandel – The British Education Studies Association https://educationstu[...] 2023-12-23
[36] 웹사이트 No One Deserves a Spot at Harvard: Michael Sandel makes the case against meritocracy. https://www.harvardm[...] 2023-12-23
[37] 뉴스 'The Tyranny of Merit' Review: The Cream Also Rises https://www.wsj.com/[...] 2023-12-23
[38] 웹사이트 Michael J. Sandel, DPhil https://hsci.harvard[...]
[39] 웹사이트 Biographies and economics dominate http://www.ft.com/in[...] 2012-09-13
[40] 웹사이트 The FP Top 100 Global Thinkers https://foreignpolic[...] 2012-11-26
[41] 웹사이트 Utrechtse eredoctoraten voor filosoof Michael Sandel en psychobioloog BJ Casey http://pers.uu.nl/ut[...] 2014-02-07
[42] 웹사이트 Michael J. Sandel - Laureates - Princess of Asturias Awards http://www.fpa.es/en[...]
[43] 웹사이트 'Rock star philosopher' Michael Sandel receives honorary doctorate from Radboud University https://www.ru.nl/en[...] 2023-05-11
[44] 뉴스 Insatiable longing https://www.economis[...] 2012-07-21
[45] Youtube The Global Philospher: Should the Rich World Pay for Climate Change? https://www.youtube.[...] BBC News
[46] 서적 Michael J. Sandel: Plädoyer gegen die Perfektion-Mit einem Vorwort von Jürgen Habermas- 2008
[47] 서적 KOMMUNITARISMUS Campus Verlag 2000
[48] 서적 実力も運のうち 能力主義は正義か? 早川書房 2021-04-20
[49] 웹사이트 『正義』の哲学者・サンデル氏が巨人開幕戦の始球式へ http://hochi.yomiuri[...] スポーツ報知 2011-03-05
[50] 뉴스 마이클 샌델 교수 "아시아노믹스 바탕에 정의 있는가" http://news.mk.co.kr[...] mk뉴스 2011-08-02
[51] 웹사이트 Sandel Wins Enrollment Battle http://www.thecrimso[...] The Harvard Crimson 2007-09-26
[52] 뉴스 13일 TV 하이라이트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0-07-12
[53] 뉴스 샌델 교수 '정의란 무엇인가' 100만부 돌파 https://news.naver.c[...] 조선일보 2011-04-19
[54] 서적 정의란 무엇인가 김영사 2010
[55] 뉴스 시장지상주의에 대한 통렬한 비판서 http://news.inews24.[...] 아이뉴스24 2013-10-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